Homebrew :: MacOS에서 명령어로 프로그램 설치/ 제거를 단순하게 처리해주는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다.
윈도우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WSL2가 설치되어 있어야한다. [윈도우 WSL2 설치방법 링크]
homebrew 설치 방법은 Homebrew 사이트에 나와있다. [Homebrew 사이트]
/bin/bash -c "$(curl -fsSL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Homebrew/install/HEAD/install.sh)"
macOS일 경우, 위 방법만으로도 설치가 완료되는 것 같다.
하지만 본인은 window OS를 사용중이기에 추가로 조치를 더 해주었다. [window WSL2 추가 조치 방법 안내 링크]
test -d ~/.linuxbrew && eval "$(~/.linuxbrew/bin/brew shellenv)"
test -d /home/linuxbrew/.linuxbrew && eval "$(/home/linuxbrew/.linuxbrew/bin/brew shellenv)"
echo "eval \"\$($(brew --prefix)/bin/brew shellenv)\"" >> ~/.bashrc
대충 번역기를 돌려보자면.. brew는 최상위 폴더에서 동작하는게 제일 좋고, PATH를 수정해줘야한다.. 등등
설치가 완료되고 brew 명령어를 쳐보면 정상적으로 설치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.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VirtualBox 네트워크] NAT, Adapter Bridge, NAT network (0) | 2021.07.09 |
---|---|
[개발환경구축] VirtualBox CentOS 8 Jenkins 설치 (0) | 2021.03.28 |
VirtualBox CentOS 8 Subversion(SVN) 설치 (0) | 2021.03.21 |
[개발환경구축] VirtualBox CentOS8 Nexus 2 설치 (Jetty Deploy) + 자동실행 (0) | 2021.03.15 |
[개발환경구축] VirtualBox CentOS 8 jdk 1.8 설치 (0) | 2021.03.11 |